본문 바로가기

철학/칸트 철학

(6)
순수이성비판, 이성을 법정에 세우다 / (배경부분) 인식(표상)과 존재(사물)가 일치하는 것을 '진리'라고 했을 때, 서양 근대철학은 '진리'를 인식하는 것에 관심이 많았던 것 같다. 그리고 우리의 지식이 어떻게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 관심이 많았던 것 같다. 우리가 인식한 것(표상)이 사물(대상)과 일치하는가?, 우리가 인식한 것이 객관적인 것인가?라는 물음(질문)을 해결하는 것이 서양 근대철학의 주요과제였던 것으로 보인다. 라이프니츠의 경우 이 문제를 다음과 같이 해결을 한다.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절대적으로 가지고 있는 '어떠한 관념'이 있는데, 그 관념은 모두에게 공통적이고 보편적인 것이다. 이 관념은 다른 설명 없이도 그 자체로 우리가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절대적이고 단순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관념이 인간에게 본유적으로 ..
'시간'과 '공간', '범주', '초월적 통각'의 사용범위와 그 의의 칸트는 인간의 '인식형식'은 '경험세계에 적용하는 것'만이 타당하고, 이러한 인식형식을 경험세계 너머의 것에 적용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한다. 경험세계 너머의 것은 '시간'과 '공간' 속에서 규정되지도 않는다. 경험세계 너머의 것은 '시간'과 '공간' 속에서 그 모습을 드러내지도 않는다. '시간', '공간', '범주'는 경험 이전에 있으면서도 경험을 가능하게 해주는 '인식조건', '인식형식', '인식 틀'이라고 할 수 있다. '시간', '공간', '범주'는 '선험적인 인식형식'이다. 칸트 철학에서는 '시간', '공간', '범주', '초월적 통각', '초월적 구상력', '초월적 도식', '선험적 원칙', '시간의 세 가지 종합'이 나오는데, 이러한 것들을 이해하게 되면, 우리 인간이 어떻게 객관적이고 보..
순수이성의 이율배반 / 시간과 공간 / 관념 정립 세계는 시간상 시초를 가지고 있으며, 공간적으로도 한계로 둘러싸여 있다. A. 나의 해석: 세계가 시간상 아무런 시초도 갖지 않는다고 가정해 보자. ① 빈 시간으로부터 시간이 탄생할 수가 없다. '시간이 없는 상태'로부터 '시간'이 탄생할 수가 없다. ② 시간에는 시작점이 없다면, 시간의 계기적 종합이 이루어질 수도 없고 시간의 계기적 종합이 완성될 수도 없다. 시간의 시작점이 있어야만 시간의 계기적 종합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 계기적 종합에 의해 '현재'의 시간이 존재할 수가 있게 된다. 세계의 시초는 세계 현존의 필연적 조건이다. B. 나의 해석: 세계는 공간적으로 한계가 없다고 가정해 보자. ① 인간은 대상을 바라볼 때, 대상을 ‘종합적인 것’으로, ‘통일체’로서 인식을 한다. 예를 들면, ..
칸트 철학에서의 '시간'은 의식 내재적이다. 칸트 철학에서의 '시간'은 우리 '의식' 밖에 있는, '세계 속에 있는 시간'이 아니다. 칸트 철학에서의 '시간'은 뉴턴 물리학에서의 '시간'이나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서의 '시공간'과는 다른 것이다. 그리고 칸트 철학에서의 '시간'은 실존 철학에서 다루어지는 '시간'이나 체험과 관련이 있는 어떤 심리적인 시간과도 다른 것이다. 칸트 철학에서의 '시간'은 '대상 인식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다. 칸트 철학에서의 '시간'은 대상 인식과 관련이 있다. 칸트 철학에서의 '시간'은 대상 인식과 관련이 있는데, 칸트 철학에서의 '시간'은 의식 내재적인 것이다. '의식 내재적'이라는 표현을 설명하기 위해서 몇 가지 예를 들어보겠다. ① 우리가 '어떤 종이의 빈 바탕'에 '점'을 연속적으로 찍어 본다고 해보자. ..
칸트 철학에서의 '시간'의 기능 칸트 철학에서의 '시간'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서 먼저 영화를 예로 들어보려고 한다. ① 90분짜리 영화가 있다고 해보자. 이제 90분을 '초'로 바꾸어보자. 1분은 60초이므로 90분은 5,400초가 된다. 5,400초를 '1초' 단위로 전부 분할을 해보자. 그럼 다음과 같이 된다. 1초, 1초, 1초, 1초, 1초, ..... '1초'가 총 5,400개가 있게 된다. ② 앞에서는 '90분짜리' 영화가 있다고 가정을 해보았는데, 이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10초짜리' 영화가 있다고 해보자. 이 '10초짜리' 영화를 '1초' 단위로 전부 분할을 해보자. 그럼 이렇게 된다. 1초, 1초, 1초, 1초, 1초, ..... '1초'가 총 10개가 있게 된다. ③ 영화는 시간이 1초일 때 '어떤 장면'이 있..
칸트 철학 이해하기 (기본적인 내용) 우리는 일상적으로 보통 '사물'을 인식할 때, 내 앞에 있는 '사물'이 내가 그 '사물'을 보든 안 보든 그 자체로 존재한다고 생각을 하기가 쉽다. '사물'은 나의 인식과 무관하게 그 자체로 존재한다고 생각하기가 쉽다. 그런데 칸트 철학에서의 '사물'은 나의 인식과 무관하게 그 자체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사물'은 우리 인간이 인식하는 대로 그렇게 존재하는 것이다. 우리 인간은 '어떠한 인식틀'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이 '인식틀'이 세계를 구성하는 대로 세계를 그렇게 보는 것이다. 우리 인간의 '인식형식'이 곧 사물의 '존재형식'이 되는 것이다. '인식틀'을 이해하기 쉽게 몇 가지 예를 들어보겠다. ① 색안경 우리는 색안경을 끼고 세상을 바라보면 '색안경이 제시하는 세상'을 바라보게 된다. ② 고글..